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팝마트 크라이베이비 (CRY BABY) 완전정복! / 시즌별 시리즈/ 가품구별 / 시세

카테고리 없음

by Cha Cha Nhon Nhon 2025. 7. 28. 10:33

본문

반응형

 

1. 크라이 베이비?

제 2의 라부부로 뜨고있는 팝마트의 또 다른 캐릭터 라인 크라이베이비!

Pop Mart의 Cry Baby는 표현력이 풍부한 감정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블라인드 박스 시리즈입니다

Cry Baby 시리즈의 창작자는 PUCKY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홍콩 출신 여성 디자이너 Wai Wai 입니다

 

Cry Baby는 디자이너 Molly Yllom(PUCKY)이 자신의 감정적 경험에서 출발한 작품입니다. “눈물도 괜찮다”는 메시지를 중심으로, 슬픔과 두려움, 위로와 공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자 했죠.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이 부끄럽지 않다는 메시지는 많은 사람에게 위로가 됩니다.

 

2. 크라이 베이비 시리즈 정리 (키링 기준)

 

 1) Crying Again (크라잉 어게인, 2023년 9월)

크라이 베이비 시리즈 중 현재(2025년 7월) 기준 가장 인기 있는 시리즈입니다

시세는 크림기준 1박스 당 약 5만원에 거래되고 있네요

크라잉어게인의 시크릿은 무려 144분의 1 확률로 뽑을 수가 있는데요 베이비 브라운과 베이비 블론드가 시크릿으로 나온다고합니다

 

 

2) Powerpuff girl 콜라보

크라이베이비와 인기 애니메이션인 파워퍼프걸의 콜라보 제품입니다.

파워퍼프걸의 얼굴에 크라이베이비의 시그니쳐인 눈물이 잘 표현된 시리즈입니다

파워퍼프걸 콜라보 시리즈의 시크릿은 72분의 1확률로 나오는 프린세스 몰벅스입니다

 

3) Wild but cutie (고양이)

크라이 베이비 얼굴에 고양이 의상을 씌운 시리즈인 와일드 벗 큐티 시리즈 입니다.

이 시리즈의 시크릿은 72분의 1확률로 나오는 와일드 큐티입니다

시세는 크림기준 박스당 약 3만원에 거래되고있습니

 4) Sunset Concert 

시리즈 중에서는 가장 최근에 나온 선셋콘서트 시리즈입니다.

시크릿은 72분의 1확률로 나오는 졸업시즌입니다

시세는 약 3만 5천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5) 그 외 단일 라인업

사랑의 눈물, 플러시 펜던트 블리스터 

단일 제품으로 출시 된 두 제품 역시 많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최근에 출시된 플러시 펜던트 블리스터는 머리모양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가격은 각 7만원/3만원 후반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3. 가품구별법

 

팝마트의 제품들은 정교한 디자인과 인기 덕분에 가품도 많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1) 정품 인증 라벨 및 QR 코드

    • 정품 박스에는 보통 POP MART 정품 홀로그램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일부 시리즈의 경우, QR 코드 또는 스크래치 코드를 긁어서 Pop Mart 공식 앱 또는 POP MART 글로벌 웹사이트에서 진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정품 앱에서는 제품 시리얼 번호를 입력하면 인증 여부가 표시됩니다.
      주의: QR 코드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정품은 아닙니다. 가품도 QR 코드만 흉내내는 경우가 있음.

2. 패키징 디테일 (박스)

      • 정품은 박스 재질이 단단하고 인쇄가 정교합니다.
      • 글자/로고가 흐릿하거나 오타가 있는 경우 → 가품 가능성 높음.
      • 박스 측면의 정식 저작권 문구, Pop Mart 로고, 디자이너 명 등이 선명해야 합니다.

3. 피규어 마감 퀄리티

      • 정품은 도색이 깔끔하고, 파팅 라인(조립선)이 거의 안 보이거나 매끈합니다.
      • 가품은 도색이 뭉치거나 번지거나, 얼굴 비율이 미세하게 틀어져 있는 경우 많음.
      • 눈동자, 입 모양, 소품 디테일이 정품은 매우 섬세합니다. → 이 부분에서 가품은 가장 쉽게 티 납니다.

4. 정품만의 특수 마감

    • 특정 Cry Baby나 Skullpanda 시리즈는 펄, 메탈릭, 투명, 야광 등 특수 재질이 들어간 경우가 있음.
    • 가품은 이 질감 표현이 거의 불가능해서 무광 플라스틱처럼 밋밋한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댓글 영역